![]() |
![]() |
![]() |
---|---|---|
중·일 ‘환경’, 한국 ‘사회’ 영역 중시…윤리경영 공통과제로 | 2010.09.01 | 8120 |
한국·중국·일본 세 나라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각각 어떻게 인식되고 있을까? 어떤 점에서 같고 어떤 점에서 차이가 날까? 8월21~22일 이틀간 한겨레경제연구소(HERI) 주관으로 열린 ‘아시아 사회책임경영 평가모델을 위한 전문가위원회’에 참석한 한·중·일 전문가들은, 세 나라에서 공통적으로 중요하게 여겨지는 요소를 논의해 평가지표로 확정했다. 환경, 사회, 거버넌스의 세 영역 중 환경 영역에서는 정책이나 시스템보다는 성과의 중요성을, 사회 영역에서는 고용 보장과 사회공헌활동의 중요성을 거론했다. 거버넌스에서 투명경영, 윤리경영의 중요성도 공통적으로 지적됐다. 전문가들은 세 나라 사이의 차이점에 대해서도 충분히 토론했고, 앞으로 평가 모델 안에 반영하도록 노력하기로 했다. 이 평가모델을 통해 높은 평가를 받은 30개 한·중·일 기업은 ‘동아시아30’(East Asia 30)이라는 이름으로 발표될 예정이다. 대기업들 환경경영은 성과논의 단계 공통점 = 환경 영역에서 전문가들은 정책, 시스템, 성과 중 성과가 가장 중요하다고 의견을 모았다. 동아시아에서도 평가 대상이 될 만한 대기업의 경우 이미 상당한 수준의 환경경영시스템을 갖추고 있다는 의견이 일반적이었다. 시스템보다는 성과를 논의할 단계라는 이야기다. 또 환경 성과는 기후변화, 대기오염, 수질오염, 폐기물, 물 소비 등 5대 주요 이슈별로 구성할 필요가 있다고 논의했다. 사회 영역에서는 직원의 괜찮은 일자리 보장, 일자리 창출, 사회공헌 이슈가 중요하게 거론됐다. 다양한 이해관계자를 고려한 경영이 필요하다는 결론으로 이어졌다. 거버넌스 영역에서는, 한·중·일 기업은 회사 내부 이야기를 외부에 노출시키는 것을 꺼리는 공통된 문화가 있다는 점이 지적됐다. 이는 기업의 투명성 문제로, 또 반부패 관련 문제로 귀결된다. 이런 점에서 동아시아 기업에 윤리경영이 여전히 강조돼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의견이었다. 또한 이사회 및 고위관리자 책임성, 리더십, 가치, 비전 같은 항목을 통해 기업의 거버넌스를 살펴보아야 한다고 했다. 한·일은 비정규직, 중은 농촌출신 차별 차이점 =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관한 세 나라의 시각에는 공통점이 컸지만 차이점도 있었다. 먼저 그 차이는 환경, 사회, 지배구조 등 세 영역 사이의 중요도에서 나타났다. 중국의 경우 거대한 글로벌 시장으로 전세계로부터 관심을 받기 시작하면서 투자자 관점에서 기업경영을 하기 시작했고, 이에 따라 환경적 리스크 관리가 가장 중요하다는 판단을 내려 환경 영역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일본 역시 환경에 가장 큰 관심을 보였다. 반면 한국은 임직원, 지역사회, 협력업체 등 사회에 대한 관심이 컸다. 사회 영역은 이슈별로 국가 간 차이를 보였는데, 일본과 한국에서는 비정규직 문제를, 중국에서는 농촌에서 온 노동자 차별 문제의 심각성을 사례로 들며 각각 노동조합과 평등기회 지표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또한 한국과 중국에서는 일자리 창출이 중요한 이슈로 제기됐다. 중국의 경우 노동자의 긴 노동시간 때문에 일과 삶의 조화를 사회지표에 반영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한편 중국의 궈페이위안 위원은 “사회책임경영 이해에 대한 차이는 용어 차이에서도 나온다”며 “예를 들어 중국기업의 경우 윤리경영을 따로 빼내어 표현하지 않지만 경영의 윤리적 요소가 곳곳에 표현되어 있기 마련이다”라고 강조했다. 일본의 고토 도시히코 위원은 “중국과 일본은 환경 영역을, 한국은 사회 영역을 중시하며 차이가 있는 듯 보이지만 점차 세 나라 기업이 노력해야 할 방향은 비슷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주철기 총괄위원장(유엔글로벌콤팩트 한국협회 사무총장)은 “동아시아 기업의 사회적 책임성을 높이겠다는 의제를 통해 세 나라 사이의 협력이 잘 이루어지면, 앞으로 정치, 외교, 군사 등을 포함한 세 나라 사이의 전반적인 관계를 개선하고 동북아 평화를 유지하는 데도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이번 프로젝트의 의미를 평가했다. 한겨레경제연구소는 전문가 위원들이 제기한 세 나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분석 작업을 펼쳐, 글로벌스탠더드를 존중하되 아시아적 맥락이 더 많이 반영된 사회책임경영평가모델을 만들어 갈 예정이다. 인천/김진경 한겨레경제연구소 선임연구원 realmirror@hani.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