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윤리경영, 이제는 돈 되는 시대’ | 2008.01.02 | 8245 |
17대 대선의 최대 쟁점인 BBK사건과 최근 급박하게 돌아가는 삼성 비자금 의혹사건으로 기업의 윤리경영이 다시 수면위로 급부상했다. 중요한 것은 이번 사건이 과거처럼 일시적 해프닝으로 그치지는 않을 것이라는 점이다. 무엇보다도 내년 시행되는 ‘바젤Ⅱ’로 윤리경영이 기업의 은행권 대출의 중요한 변수로 등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바젤Ⅱ는 은행이 대출인의 신용등급에 따라 다양한 위험가중치를 고려하는게 핵심. 신용도가 낮은 기업에 대해서는 은행 문턱이 크게 높아질 수밖에 없다. 윤리경영이 ‘돈’과 직결되는 시대가 바로 코앞으로 다가온 셈이다. 이에 맞춰 전경련과 벤처기업협회는 최근 기업의 윤리경영 수준을 확인할 수 있는 제도를 도입해 운영중이다. 전경련의 ‘윤리경영 자율진단지표’는 기업이 윤리경영 수준을 직접 진단하고 이를 바탕으로 윤리경영을 추진할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핵심이다. 지표는 크게 기업의 윤리경영 제도 및 시스템과 이해관계자별 영역으로 나눠진다. 윤리경영 제도·시스템은 기업의 윤리경영 실천의지와 추진전략 등을 확인한다. 이해자별 영역은 고객사, 종업원, 협력사 등에 대한 관리 및 관계 등을 체크한다. 김보수 전경련 윤리경영팀 부장은 “유럽에서는 윤리경영을 하지 않는 회사에는 금융기관에서 자금을 주지 않는다”며 “과거에는 경영과 윤리를 동떨어지게 봤지만 앞으로는 그럴 수 없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전경련은 올해는 지표만 제공하지만 내년에는 각 기업의 평가결과에 대한 구체적인 온·오프라인 컨설팅까지 제공할 계획이다. 전경련의 지표가 대기업들의 자체 평가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면 벤처기업협회의 윤리경영인증제는 중소·벤처기업을 대상으로 외부기관을 통해 수준을 평가받는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인증은 1000점 만점에 700점 이상이면 받는다. 지속가능 경영, 국가 및 지역경제 기여도, 기업지배구조의 투명성과 효율성, 종업원 관리, 공정거래, CEO 의지 등 10가지 49항목을 평가한다. 6주간의 기간과 400만원의 비용이 소요되며, 이중 200만원은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조만간 첫번째 인증기업 발굴을 앞두고 있다. 벤처기업협회 관계자는 “은행·중소기업진흥공단·기술보증기금 등 자금지원기관과 윤리경영 인증시 인센티브를 부여할 수 있는 방안을 협의중”이라고 밝혔다. ◆윤리경영이란 “사기만 치지 않으면 되는 것 아니야·” 윤리경영에 대한 오해가 적지 않다. 윤리경영은 단순히 비도덕적 행위를 하지 않고 있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전경련은 윤리경영을 지속가능한 기업으로 성장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경영전략으로 소개한다. 기업을 둘러싼 다양한 이해관계자와 좋은 관계 형성과 유지를 통해 경쟁력 있는 기업이 되기 위해 경제·사회·환경 책임을 이행해 경쟁우위를 창출하는 하나의 경영전략이라는 것이다. 그래서 기업의 윤리경영 발전단계를 경영이념과 윤리경영 실천정도에 따라 △도입 △제도화 △정착 및 체계화 △윤리적 명성유지 등 4단계로 구분한다. [전자신문 김준배기자 2007.12.10] |